성공담 vs 실패담

소득주도 성장 3년 후, '워킹 데드 코리아'

mmagic 2025. 3. 11. 03:15

📌 경제학 이론을 바탕으로 본 ‘급격한 최저임금 인상’의 영향 분석

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노동시장, 기업, 금융시장, 국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경제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설명해 보겠습니다.

폐업할 수 없다면 일해라, 파산할 때까지


1️⃣ 노동시장: 수요·공급 법칙과 실업 증가

📌 수요·공급 법칙 (Law of Supply and Demand) 적용

  • 노동시장에서도 임금(가격)이 오르면 고용(수요)이 감소하고, 반대로 낮아지면 증가함.
  • 최저임금을 5,000원에서 1만원으로 급격히 인상하면, 기업들은 노동비용을 감당하지 못함.
  • 이에 따라 (1) 고용 감소, (2) 자동화 대체 증가, (3) 실업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.

📌 실업의 종류 (Unemployment Types) 적용

  1. 구조적 실업 (Structural Unemployment):
    •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이 노동비용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고용을 줄이고, 대체재(자동화·가족 노동)를 찾음.
    • 고용 감소 → 기존 노동자의 일자리 상실 → 장기 실업 증가.
  2. 마찰적 실업 (Frictional Unemployment):
    • 기업이 고용을 줄이면서, 노동자들은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데 시간이 걸림.

💡 결론: 최저임금이 급격히 오르면 노동시장에서 고용이 감소하고, 실업률이 상승한다.

 

역대 최대 지지율 대통령 52.6%


2️⃣ 기업의 반응: 대체효과와 비용 증가

📌 대체효과 (Substitution Effect)

  • 기업은 비용이 증가하면 자동화, 무인화, 가족노동 활용, 단기 근무 활용 등으로 대응.
  • 가족 노동 활용 → 자녀, 부모 등이 직접 사업 운영 (비공식 노동 증가)
  • 자동화 증가 → 무인 키오스크, 로봇 서비스 도입

📌 비용 증가와 중소기업의 폐업 (Cost-Push Effect)

  •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은 노동비용 증가를 감당하지 못하고 폐업.
  • 대기업조차 추가 채용을 중단하면서 신규 노동 시장이 위축됨.

💡 결론: 최저임금 상승이 심하면 기업들은 노동자를 줄이고 자동화·가족 노동·단기 근무로 대체하면서, 실업이 증가한다.

 

맥도날드 키오스크 업그레이드

 


3️⃣ 물가 상승과 스태그플레이션 (Stagflation) 위험

📌 비용 인상(인플레이션)과 소비 위축 (Cost-Push Inflation)

  • 최저임금 상승 → 기업 비용 증가 → 제품·서비스 가격 인상 → 물가 상승(인플레이션)
  • 하지만 기업의 고용 감소로 인해 실업률 상승경기 침체
  • 실업률 상승 + 인플레이션 = 스태그플레이션(Stagflation, 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) 발생 가능

📌 가처분 소득 감소 (Disposable Income Decrease)

  • 물가가 상승하면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여 소비가 줄어듦.
  • 대출 이자 부담 증가(금리 상승) → 소비 여력이 감소 → 내수시장 위축.

💡 결론: 최저임금 급등은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를 동시에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.

 

소득주도성장 정책 조금 더 확실히 밀고 나가야-2019.05.19


4️⃣ 금융시장 충격: 금리 상승과 금융위기 가능성

📌 은행 금리 상승과 대출 부담 증가 (Interest Rate and Debt Burden)

  • 물가 상승 → 중앙은행(연준, 한국은행)이 금리를 인상하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 함.
  • 금리 상승 → 대출금 상환 부담 증가 → 소비 위축 & 파산 증가.
  • 기업도 금리가 올라가면 투자 위축 → 경제 성장 둔화.

📌 대출 부실화 및 금융위기 위험 (Banking Crisis Risk)

  • 대출받은 기업과 개인들이 원리금을 갚지 못하면 은행 부실(부실채권 증가) 발생.
  • 은행 신용등급 하락 → 국가 신용등급도 하락 → 외국인 투자자 이탈
  • 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장기적인 경제 위기 가능성이 커짐.

💡 결론: 최저임금 인상 → 물가 상승 → 금리 인상 → 소비·투자 위축 → 금융시장 불안 → 경제 위기 가능성 증가.

 

장하성 "소득주도성장 오히려 가속해야", 18개월간 재산 11억 늘었다

 


5️⃣ 정치적 변화: 포퓰리즘 정책의 한계

📌 정책 실패와 국민의 반응

  • 최저임금 인상이 노동시장과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, 국민은 포퓰리즘(인기영합) 정책을 지지하지 않게 됨.
  • 포퓰리즘 정책의 딜레마:
    1. 한 번 올린 최저임금은 다시 내리기 어려움 (정치적 저항 발생).
    2. 그러나, 경제가 악화되면 오히려 국민들은 보다 실용적인 경제 정책을 지지하게 됨.

💡 결론: 최저임금 급등으로 인한 경제적 부작용이 커지면, 국민들은 포퓰리즘이 아닌 실용적인 경제 정책을 지지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.

 

하지만, 2025년 현재에도 여전히 한국인의 약 40%는 포퓰리즘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.


김동연 "소득주도성장, 시간 걸리지만 꼭 가야할 길"

 

경기도지사 (2025년 현재) 김동연, 문재인 정부의 경제부총리로서 소득주도성장을 추진했다.

 

전국 대부분의 상가에 '임대문의'가 붙어있다


📌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 시나리오 정리

1️⃣ 노동시장 위축: 고용 감소, 실업 증가, 기업의 자동화·단기 근무 대체.
2️⃣ 기업 부담 증가: 중소기업 폐업 증가, 대기업 신규 고용 축소.
3️⃣ 물가 상승: 최저임금 인상이 제품·서비스 가격 상승을 초래하여 인플레이션 유발.
4️⃣ 금리 상승 & 소비 위축: 금리가 올라가면서 가처분 소득 감소, 소비·투자 위축.
5️⃣ 금융시장 불안: 부실 대출 증가, 은행 신용등급 하락, 국가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.
6️⃣ 정치적 변화: 경제적 혼란이 커지면, 국민들은 포퓰리즘보다는 실용적인 경제 정책을 지지하게 됨.(희망사항)

 

공실지옥


📌 결론: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의 부작용

🚨 최저임금 인상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, 경제 성장 속도와 생산성 향상을 고려해야 한다.
🚨 급격한 인상은 노동시장과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결국 금융시장 불안과 정치적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.
🚨 포퓰리즘적 정책은 단기적 인기몰이는 가능하지만, 장기적으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.

👉 경제 정책은 정치적 인기보다 실질적인 경제 원칙을 기반으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! 🚀

*어떤 초인적인 지도자 (하비에르 미레이, 도널드 트럼프, 이승만, 박정희 등)가 나타나서 최저임금을 다시 낮추면 한국은 희망을 가질 수 있다.